안녕하세요! 베니핏소녀입니다~! 오늘은 불교경전의 하나인 화엄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화엄경을 알아본다는 말 자체가 어불성설입니다. 하지만 대략적인 내용은 무엇이고,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정도만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화엄경의 종류
현재 우리에게 번역되어 전해진 화엄경은 세종류가 있습니다. 60화엄, 80화엄, 40화엄인데, 60화엄과 80화엄의 마지막품에 이 40화엄이 공통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이 40화엄을 입법계품이라 합니다. 그리고 60화엄과 80화엄의 내용이 거의 대동소이하지만 우리나에서는 의상이 소개한 60화엄경을 주로 다루고 있습니다.
2. 화엄경의 형식
화엄경은 기본적으로 부처님이 직접 설한 것이 아닙니다. 법신 부처인 비로자나불과 석가모니가 빛으로 일체를 이룬 상태에서 여러 보살들을 통하여 불법을 전하는 형식을 하고 있습니다. 직접 설하는 것은 보살들이지만 부처님의 말씀을 전달하는 역할만 하는 겁니다.
3. 화엄경의 구성
60화엄을 우리는 7처 8회 34품이라고 합니다. 7처는 법을 설한 장소가 7곳이고 8번 설하였으며, 내용상 34단락 혹은 구절로 구분한다는 것입니다. 2회와 7회가 같은 장소이므로 장소와 횟수가 차이가 있습니다. 간단히 정리해볼께요.
지상
1회 마가다국 보리수밑, 비로나불과 일체
2회 보광법당, 문수보살 4성제
천상
3회 도리천, 십주
4회 야마천, 십행
5회 도솔천, 십회향
6회 타화천, 십지. 십지는 가장 중요한 내용입니다. 보살의 수행 발전단계를 10가지로 나누어 놓은 것 입니다. 자신의 깨달음과 더불어 타인들도 깨달음으로 향하게 해야한다는 이타행의 수행을 강조하고 있어요.
다시 지상에서
7회 보광법당, 앞의 내용을 요약 설명
8회 서다원림, 입법계품. 입법계품은 선재동자 혹은 남순동자가 53명의 선지식인을 찾아 도를 구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어요. 선지식인은 보살뿐만 아니라, 비구, 비구니, 소년, 의사, 장자, 창부 등 갖가지 직업과 신분을 지닌 사람들입니다. 이는 형식이 문제가 아니라 보리심이 중요하다는 대승불교의 수행 이상을 잘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4. 화엄경의 주요 내용
화엄경은 석가모니불이 처음 깨달았을 때의 경지를 설하고 또한 그 경지에 도달하는 방법을 설한 경전입니다. 하지만 너무 이해하기 어렵기에 일반적인 용어만 언급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1) 법계연기 - 화엄사상의 기초개념 즉 세계관입니다. 우주의 모든 사물은 홀로 존재하거나 혼자 발생되는 것은 없다고 합니다. 모든 것은 끝없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서로가 원인이 되고, 대립을 초월하여 하나로 융합되기도 하는데 무진연기라고 합니다. 무진연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법계, 십현연기, 육상원융, 상입상즉의 개념을 화엄경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 모든 것은 공하여 실체가 없다.
모든 것은 카르마(업)에 의해 다르게 나타난다.
대승을 믿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등
3) 연화장 세계
화엄경에서 설하는 이상세계입니다. 아미타불의 서방극락정토가 있듯이, 연화장 세계는 화엄경의 중심불인 비로자나불이 주관하는 조화로운 세계입니다. 화엄경에서는 유독 우주의 조화를 강조합니다. 예를들어 단풍은 하나하나도 아름답지만 여러 단풍이 모여 있을 때 가장 아름답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모두가 다르지만 부처님 안에서는 모두 깨달은 사람이고 조화롭게 완성되어 있으므로 싸우지 말고 화합하면서 살아가야 됨을 말하고 있어요.
4) 삼국통일후의 단결 화합에 이용
자장에 의해 신라에 전해진 화엄경은 삼국통일 후 의상과 원효에 의해 활짝 꽃피게 됩니다. 화엄경의 우주질서의 조화라는 사상은 삼국의 화합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통일신라 입장에서는 가장 좋은 이념이라 아니할 수 없어요. 이후 화엄사상은 우리나라에서 주류 종파를 형성하며 신라하대 유행한 선종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화엄경은 인생을 살아가는 자신과 그 공동체의 윤리적 실천을 강조한 경전이라고 합니다. 보살이라는 실천의 주인공을 앞세워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경전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여행 > 경주 신라 불교 역사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덕여왕과 왕즉불사상 그리고 첨성대 (0) | 2023.06.07 |
---|---|
경주 첨성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 (0) | 2023.06.02 |
불교를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0) | 2023.05.30 |
신묘장구대다라니 내용 아바타와 시바신 (0) | 2023.05.14 |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 뜻 내용 알아보자 (0) | 2023.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