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보기

천수경 뜻 내용 알아봐요

by 베네핏소녀 2023. 5. 12.
300x250

천수경 메인사진

 한국불교에서 가장 많이 독송되는 경전으로 천수경, 반야심경, 금강경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사찰에서 행하는 의식이나 법회 때에 반드시 독송하는 기본경전인 천수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진언과 다라니

 천수경에 들어가기 전 먼저 진언과 다라니에 대한 개념을 아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우리는 흔히 어떤 술법을 행할 때 외치는 신령스럽고 비밀스러운 글귀를 주문이라 하지요. 예를 들어 만화에 나오는 신선이 사라질 때에 '수리수리 마하 수리얍' 하고 주문을 하고 연기처럼 사라집니다. 이때 외치는 수리수리 마하수리를 주문이라 합니다. 위와 같이 짧은 주문을 불교에서는 진언 혹은 주라고 하지요.

 

ㄱ)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ㄴ) 옴 마니 반메 훔 등

 

 그리고 진언보다 조금 더 긴 주문을 다라니 혹은 대주라고 합니다. 다라니는 짧은 글 속에 많은 뜻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ㄱ) 신묘장구 대다라니 등

 

2. 천수경의 내용

300x250

 

 천수경의 원래 명칭은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다라니경'입니다. 명칭 속에 경의 내용이 함축되어 있어요. 천 개의 손으로 중생의 고통을 어루만지고, 천 개의 눈으로 중생의 어려움을 살피시는 자비로우신 관세음보살을 찬탄하고 그 공덕을 칭송하며 관세음보살에게 소원을 기도하고 귀의할 것을 염원하는 경전입니다. 한마디로 관세음보살을 찬양하고 따르겠다는 주문들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3. 천수경의 구성

천수경은 한마디로 진언과 다라니 조합, 즉 주문을 모아놓은 경전입니다. 모두 84 구절로 되어 있는데, 짧은 진언은 3~4개의 글자 혹은 한 줄 정도이고, 조금 더 긴 다라니의 경우 몇 개의 구절로 되어 있어요. 그중에서 천수경의 핵심은 신묘장구대다라니입니다. 신묘장구대다리니에 대하여는 별도로 포스팅하겠습니다.

 

4. 천수경의 특징

ㄱ) 한국불교만의 독자성

 우리나라 천수경은 중국과 일본의 천수경과 차이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만의 방식으로 여러 경전의 주요한 구절을 발췌하고 편집해 넣은 것입니다. 그래서 한국불교의 독자성과 역사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경전이라 할 수 있어요.

 

ㄴ) 가장 친숙한 경전

 또 천수경은 불교의 의식이나 법회에서 꼭 독송되는 기본 경전이고요. 거의 모든 사찰의 새벽 도량석에서 독송되므로 천수경으로 하루의 일과가 시작된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경전 중 하나입니다.

 

ㄷ) 범어를 음역

 천수경은 범어를 그대로 음역 해서 읽습니다. 왜냐하면 신비스러운 주문이기 때문에 번역하면 잘못된 의미로 전달될 소지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차라리 원문을 그대로 읽는 것이 원래의 깊은 의미를 이해하기가 쉽겠습니다.

 

ㄹ) 밀교적 성격

 천수경은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다분히 밀교적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티베트불교의 대표적인 특징이 주문, 부적, 고행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천수경은 진언 다라니 자체가 주술적이라 부처님의 가르침과 생각하기에 따라 거리가 있다고 생각하는 부류도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천수경의 핵심 다라니인 신묘장구대다라니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300x250

댓글